• [부동산] 아파트 mae mae gi 🏠

    2021. 6. 28.

    by. dundin

    반응형

    드디어 내집 마련 (아직 잔금 안치름 주의) 한 기념으로 기록충은 또 기록을 하려고 한다. 

     

    💵 내 예산 파악하기 

    부동산을 매매할 때 나의 예산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작년에 부의 추월차선 이라는 책에서 '자산을 기록하지 않으면 파악할수 없고, 파악하지 않으면 관리할수 없다' 라는 문구를 보고 감명을 받아 소저씨와 매달 수입 & 지출을 기록하고 3개월에 한번씩 잔고를 파악해서 증감률을 체크하고 있었다. 이렇게 체크하면 내가 한달에 얼마를 벌고, 얼마를 쓰니 한달동안 증가하는 돈이 얼마인지 파악할수 있어서 좋다. 

     

    예산을 파악하고나면 전세를 끼고 살지, 주택담보 대출을 받아서 들어갈지를 고민해야 한다. 전세를 끼면 대출이 안나오고 대출을 받으면 LTV가 걸리기 때문에 (KB 시세 기준 9억까지 40%, 9억 이상 20%, 15억 이상은 대출 x) 대출받을 수 있는 것까지 잘 감안해서 예산을 짜야한다. 신용대출도 받을수 있긴 한데 아직 안받아서 정리를 못함. 

    양도세 기준이 강화되어 실거주 2년을 채우지 않으면 비과세 혜택이 적어지기 때문에 결국 들어갈 것 까지 고민해야 한다. 

     

    🏬 부동산 임장하기 

    예산을 정했으면 네이버 부동산과 호갱노노여행을 한 다음 보고싶은 매물을 적어 부동산에 전화를 돌린다. 낚시 매물이 많다고 하던데, 나는 운이 좋았던 것인지 가짜매물은 본적이 없었다. 여튼 부동산 임장할때 주의 할 점 ! 

     

    ✔️ 코로나시국이기 때문에 마스크는 필수 ! 3명이상 가는 것도 민폐인것 같다. 2명까지가 적당. 

    ✔️ 집에 세입자가 있는 경우 세입자 앞에서는 전세금이나 매매가에 대해서 말하지 않는다. 그냥 살기 좋은지 물어보는 것 정도는 괜찮은듯 

    ✔️ 집에 집주인이 있는 경우 집에 대해서 칭찬을 하면 분위기가 훈훈해 진다. 

    ✔️ 전세금, 매매가, 지금 세입자 계약만료일 등등은 이동하는 엘리베이터에서 중개인에게 물어보는것이 제일 좋음  

     

     

    그리고 (나같은) 초보가 많이 했던 실수는, 집 자체를 봐야 하는데 자꾸 사소한것, 인테리어가 구리거나 살고 있는 사람이 집을 엉망으로 해서 살고 있는 것 등등이 자꾸 눈에 들어온 것이다. 인테리어는 새로 싹 - 하면 새집 될 수 있으니, 인테리어 보다는 바뀌지 않는 항목에 대해서 보는게 맞는 것 같다. 

     

    ✔️ 역세권 & 위치 (지도상으로는 가까워보여도 언덕이라던가, 큰도로로 막혀있다던가 하는 경우도 많음) 

    ✔️ 남향, 남동향, 남서향 

    ✔️ 주변에 초등학교, 중학교 있는지. 초등학교를 길 안 건너고 갈 수 있으면 제일 좋다고 한다(일명 초품아) 

    ✔️ 집구조 (판상형 & 타워형) 

     

     

    ✍️ 계약하기 

    마음에 드는 집을 찾으면 계약을 한다. (갑자기??)

    조금 깎아주는 경우도 있으니 부동산 중개인을 통해 시도라도 꼭 해보자. 예를 들어 신혼부부인데 돈이 너무 없다 .. 등등 .. 집주인이 대인배이거나 일부러 호가만 엄청 높여놓은 경우라면 깎아줄 가능성이 있으니 꼭 한번 물어보자. (한마디 말로 1,000-2,000 깎을 수 있다면 엄청난 거니까!) 

     

    계약금은 보통 매매가의 10-20% 정도인데 계약서를 쓰기 전에 보통 가계약금이라는 것을 건다. 보통 500-1000만원정도 인것 같다. 추후 변심시 돌려받지 못하는 금액이니 입금 전 잘 고민해 봐야한다. 가계약금 넣기 전에도 등기부등본을 떼봐야 한다. 

     

     

    부동산 매매 계약시 주의 해야할 점 

    ✔️ 집주인 본인이 맞는지 확인한다. 주민등록증 제대로 체크하기 

    ✔️ 등기부등본을 계약 당일에 떼어서 확인한다. (가압류, 근저당 등 없는지 체크. 있다면 잔금날 말소 하는 것으로 특약추가) 

    ✔️ 계약금 입금 계좌가 집주인 본인이 맞는지 확인한다. 

     

     

    부동산 매매 계약일 준비할것 

    ✔️ 신분증 

    ✔️ 계약금을 계좌이체 할수 있도록 OTP, 일일이체 한도 변경해 두기 

     

     

    매매가 성사되면 부동산 중개인에게 복비를 줘야한다. 

    만약 잔금일이 많이 남았다면 (아파트의 경우 보통 2-3개월정도) 복비를 100% 다 주지 말고 잔금까지 다 한 다음에 완납하는 것이 좋다. 누구나 그렇듯 돈다 받고 나면 갑자기 성의가 없어짐. ㅋㅋㅋ 휴 .. 

     

     

     

    사실 이 글을쓰는 시점 기준 중도금도 아직 안넣었다. 대출도 아직 안받음. 여러가지 미션을 해치워 가면서 간단하게 기록도 해봐야지. 

    반응형

    댓글